중국, 캐나다 농산물에 보복 관세 부과

중국, 캐나다 농산물에 보복 관세 부과

“캐나다 유채씨유에 100% 보복관세”

중국이 캐나다산 농산물 및 식품 수입품에 대해 보복 관세를 부과한다고 9일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캐나다가 중국산 전기차 및 철강,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를 부과한 데 따른 대응 조치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성명을 통해 새로운 관세 조치는 오는 3월 20일부터 발효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캐나다산 유채씨유, 유박(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 완두콩에는 100% 추가 관세가 부과되며, 돼지고기 및 수산물에는 25%의 추가 관세가 적용된다.

이번 관세 조치는 이미 고조된 국제 무역 긴장을 더욱 악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최근 미국, 중국, 캐나다, 멕시코 간에 연이은 관세 부과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이번 조치는 캐나다의 대중 관세 조치에 대한 직접적인 보복으로 해석된다.

캐나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발표했으며, 여기에는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100%의 추가세와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의 추가세가 포함되어 있다.

중국 세관 당국은 성명을 통해 “중국은 반복적으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자제를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캐나다는 조사 없이 일방적인 수입 제한 조치를 취했다”며 “이러한 조치는 중국-캐나다 경제 및 무역 관계를 훼손하는 행위”라고 강력히 비판했다.

또한, 중국 측은 이번 보복 관세 결정이 캐나다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반차별 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성명에서는 “캐나다의 특정 중국 제품에 대한 제한 조치는 정상적인 무역 질서를 방해하고, 중국 기업의 정당한 권익을 침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캐나다 정부는 지난해 8월 미국과 유럽연합(EU)의 중국산 전기차 및 기타 제품에 대한 관세 조치에 동참하며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서방 정부들은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이 자국 산업에 불공정한 경쟁 우위를 제공한다고 주장해왔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추가 관세가 부과될 수도 있다”고 밝히며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태도를 보였다. 몬트리올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동맹국과 친구들을 배신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캐나다 농업계에서는 이번 중국의 보복 관세가 특히 캐나다 카놀라(유채) 농가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캐나다는 중국에 대규모 유채씨유를 수출하는 주요 국가 중 하나로, 이번 관세로 인해 수출업체와 농민들이 상당한 경제적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국제 정세와 무역 문제 외에도 이스라엘 정부는 가자지구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중동 지역의 긴장도 고조되고 있다. 중국과 캐나다 간의 무역 분쟁이 향후 국제 경제 및 외교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Copyrights ⓒ 빅토리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