놓치면 손해! 2025년 꼭 챙겨야 할 절세 공제 5가지
매년 세금 신고를 하면서 얼마나 많은 돈을 절약하고 있는가?
세금 신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거나 세무 전문가에게 의존하는 경우, 프로그램의 한계나 세무사의 지식에 따라 절세 혜택을 놓칠 가능성이 있다. 심지어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세금 신고 소프트웨어나 뛰어난 세무사를 활용하더라도, 자신이 받을 수 있는 공제 항목을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2025년 세금 시즌에 절세를 극대화할 수 있는 주요 세액 공제 항목들이다.
환급 가능 세액 공제 vs. 환급 불가능 세액 공제
세액 공제 항목을 살펴보기 전에, 환급 가능 세액 공제와 환급 불가능 세액 공제의 차이를 간략히 정리한다.
- 환급 가능 세액 공제: 세금 부담을 충분히 낮출 경우 정부로부터 환급을 받을 수 있는 공제.
- 환급 불가능 세액 공제: 세금 부담을 줄일 수는 있지만, 세금을 0원 이하로 낮출 수는 없으며 초과 금액에 대한 환급은 불가능.
예를 들어, 세금 부담이 3,000달러이고 환급 가능 세액 공제가 5,000달러라면, 2,000달러를 환급받을 수 있다. 하지만, 동일한 상황에서 환급 불가능 세액 공제를 받는다면 세금 부담이 0원이 될 뿐, 추가 환급은 없다.
2025년 절세에 도움이 되는 주요 연방 세액 공제
다음은 캐나다 국세청(CRA)이 제공하는 주요 연방 세액 공제 목록이다. 이 공제는 전국 모든 납세자가 활용할 수 있으며, 일부는 연간 세금 신고 시 적용되지만, 일부는 월별 또는 분기별로 지급되는 혜택 형태로 제공된다.
추가로, 각 주 및 준주에는 자체적인 세액 공제 프로그램이 있으므로, 국세청 웹사이트에서 지역별 절세 혜택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1. 캐나다 훈련 공제 (Canada Training Credit)
캐나다 훈련 공제는 26세에서 66세 사이의 개인이 직업 발전을 위해 학비와 교육비를 지출한 경우 적용되는 환급 가능 세액 공제이다. 교재, 강의료 등 교육 관련 비용에 대한 세금 환급을 받을 수 있다.
2. 캐나다 보호자 공제 (Canada Caregiver Credit)
배우자, 사실혼 배우자, 또는 정신적·신체적 장애가 있는 부양가족과 함께 거주하며 주된 보호자로 역할하는 경우, 캐나다 보호자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이 공제는 환급 불가능하며, 최대 8,375달러까지 과세 소득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인 절세 효과는 개인의 세율과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이 공제는 장애가 있는 가족이나 부양가족을 위한 필수 생활비(예: 식비, 의류, 주거 비용)를 충당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설계되었다.
3. 주택 접근성 세액 공제 (Home Accessibility Tax Credit)
자신이나 배우자, 부양가족의 장애 또는 연령에 맞춰 주택을 개조한 경우, 해당 비용을 최대 20,000달러까지 공제받을 수 있다.
이 공제는 65세 이상이거나 해당 과세 연도에 장애 세액 공제 자격을 갖춘 경우 적용된다. 공제 대상 비용과 서류 제출 요건에 대한 세부 사항은 국세청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캐나다 아동 혜택 (Canada Child Benefit)
만 18세 미만 자녀를 돌보는 가정이라면, 캐나다 아동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 혜택은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가정을 대상으로 하며, 자녀 양육비 부담을 줄이는 데 목적이 있다.
5. 캐나다 근로자 혜택 (Canada Workers’ Benefit, CWB)
2024년 12월 31일 기준 19세 이상이며, 해당 연도 동안 법적 거주자였고, 소득이 특정 한도 이하인 경우 캐나다 근로자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개인: 최대 1,590달러 지급 가능
- 가족: 최대 2,739달러 지급 가능
- 장애가 있는 근로자 대상 추가 지원금 제공
CWB 지급 일정 (2025년)
- 7월 11일
- 10월 10일
세금 신고 기한을 지켜야 한다
세금 신고를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고를 서두르면 절세 혜택과 세액 공제를 놓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일부 세액 공제는 자동으로 적용되지만, 일부는 직접 신청해야만 받을 수 있다.
2024년 세금 신고 기한은 **2025년 4월 30일(수요일)**이다.
기한을 넘기면 연체 수수료와 월별 벌금이 부과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기한 내에 신고하는 것이 중요하다.
Copyrights ⓒ 빅토리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