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 “공무원들 업무용으로 애플 제품 쓰지마”
미국의 중국 견제에 맞불로 분석
중국이 중앙정부 기관 공무원들에게 애플 아이폰을 포함한 외국 브랜드 기기를 업무에 사용하거나 사무실로 들여오지 말라고 지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지시는 최근 몇 주간 직장내 회의나 모임 등에서 상급자들로부터 지시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의 이런 조치는 9월 애플의 아이폰15 신제품 출시를 앞두고 중국이 애플을 지렛대 삼아 미국 정부를 압박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 전문가는 “아이폰 제조업체 폭스콘은 중국에서 수십만명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지만, 중국은 이런 애플 조차 견제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드러낸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은 애플의 가장 큰 시장 중 하나로 매출의 거의 5분의 1을 중국을 통해 창출하고 있다.
미국은 그동안 캐나다를 포함한 동맹국들과 협력해 5세대 이동통신(5G) 구축 사업에서 중국 업체를 배제하기로 방침을 정하는 등 중국을 지속적으로 견제해왔다. 또한 미국은 중국 정부가 비행기 제조사인 보잉과 칩 제조 회사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를 포함한 미국 기업들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면서 미-중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은 미국의 제재가 계속되자 최근 몇년 사이 ‘기술굴기’를 목표로 대대적인 해외기술·인재 유치에 속도를 내며 자체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화웨이는 최근 최신 스마트폰 ‘메이트 60 프로’를 선보였는데, 전문가들은 중국이 미국의 견제를 뚫고 자체적으로 7나노미터급 첨단 반도체 칩을 양산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았다.
중국 정부의 애플 제품 사용 금지 소식이 전해지자 이날 애플 주가는 장 초반에 1.5% 하락했다.